알림판
x 씨네마고 클럽 <나를 만드는 저녁>
설문대
2021. 9. 29. 18:02
○ 소 개 : 청소년의 문화 이력을 만드는 프로그램입니다.
영화와 도서를 매개로 경청하기, 자신에 대해 말하기, 주제 대화, 글쓰기를 시도합니다.
○ 대 상 : 14~16세 청소년 최대 8명 (최소 5명)
○ 기 간 : 2021년 10월 ~ 2022년 4월 (7개월, 15차 수업)
(보호자와 참여 청소년 합동 OT) 10월 23일(목)
※ 첫수업은 10월 30일
○ 시 간 : 격주 토요일 저녁 8시~9시 30분
○ 접 수 : 선착순 댓글 접수 ( 친구들 이름, 학년, 부모님 연락처 꼭 기재해 주세요) / 10월 16일 마감
○ 참가비 : 3만원
○ 문 의 : 064) 749- 0070
※ 방역수칙에 따라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.
※ 세부 내용
구분 | 내용 | 시간 |
영화 소개 | - 감독과 각본 소개 - 비하인드 스토리 - 영화에 대한 기타 배경사항, 주목할 만한 내용 |
5분 |
감상평 말하기 | - 영화 좋았던 점, 아쉬웠던 점 (불편하거나 마음에 걸리는 점), 궁금했던 점 나누기 - 나에게 가장 크게 다가온 영화의 메시지는? - 함께 읽은 책 좋았던 점, 아쉬웠던 점 |
20분 |
발제 토론 | - 영화, 책 관련 키워드를 포스트잇에 1개 이상 쓰기 - 강사, 참여 청소년 포함 3개 발제 선정 - 발제 주제에 대해 대화 나누기 |
40분 |
영화 카드 정리 | - 나의 영화 한줄평 / 별점 / 같이 보고 싶은 사람 말하기 - 영화 카드 쓰기 / 함께 보면 좋은 책 쓰기 |
15분 |
마무리 | - 주제 글쓰기 | 10분 |
구분 | 영화 | 특이사항 | 함께 읽을 책 |
자기 자신 | 인사이드아웃 (2015) | - | 알고 싶어 내 마음의 작동 방식 (그웨돌린 스미스) |
코코 (2017) | - |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(이경혜) |
|
꾸뻬씨의 행복 여행 (2014) | - | 꾸뻬씨의 행복 여행 (프랑수아 를로르) |
|
관계 | 소풍 같이 (2020) | 독립영화, 함께 보기 | 나의 텃밭 나의 행복 (박성자) |
늑대 아이 (2012) | 편지 쓰기 | 세계로부터 지켜주는 세계 (쓰카모토 하쓰카) | |
자전거 탄 소년 (2012) | - | 나의 라임오렌지나무 (J. M. 바스콘셀로스) |
|
워낭소리 (2009) | - | 10대와 통하는 동물 권리 이야기 (이유미) | |
문화예술 | 서칭 포 슈가맨 (2011) | 플레이리스트 갖고 오기 | 대중음악 히치하이킹 하기 (권석정) |
타인의 취향 (1999) | - | 보통의 노을 (이희영) | |
동주 (2016) | - | 윤동주 시집 (윤동주) | |
제주 | 인어전설 (2018) | - | 열두 살 해녀 (김신숙) |
작년에 봤던 새 (2020) | 독립영화, 함께 보기 | 푸른 숲, 제주입니다 (북노마드) | |
조수웅덩이 (2019) | 독립영화, 함께 보기 | 제주도 조수웅덩이 (임형묵) |
|
불편한 사람 (2020) | 독립영화, 함께 보기, 감독과의 대화 |
민병훈 감독의 영화감독이 되는 길 (민병훈) | |
홀로서기 | 줄리&줄리아 (2009) | 함께 보기 | 울고 화내고 멍 때려라 (설흔) |